이클립스에서 apk 파일 추출하기.
안드로이드 앱을 개발할 때 대부분이 이클립스를 이용하고 있을 것이다.
요즘에는 안드로이드스튜디오? 라고 좋은 놈이 나왔다고는 하는데, 원래 쓰던 게 있으니 무언가를 새로 설치하는 게 귀찮아서;;
어쨌든 이클립스를 이용해서 개발을 하고 앱을 배포하려고 하면, apk 파일이 필요하다. 이 apk 파일은 어떻게 얻어내는가?
이클립스에서 apk 파일을 얻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.
- Run/Debug시 /bin 디렉토리에 자동 생성되는 apk 파일 꺼내오기 : 개발용
- Eclipse의 Export 기능 사용하기 : 배포용
이 중에 어떤 방식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apk 파일의 사용 범위에 제약이 생긴다.
위에도 적어두었지만 자동으로 생성되는 apk 파일은 only 개발용으로, 앱 스토어에는 업로드할 수 없는 파일이다. 만약 Google Play Store에 앱을 제출하고 싶다면 두 번째 방법으로 apk 파일을 추출해야 한다. 사실 첫 번째 방법은 우리가 어떠한 조작을 가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apk 파일이 생성되니까 설명할 꺼리가 없고, 여기서는 두 번째 방법에 중점을 두어 설명하도록 한다.
1. 추출하고자 하는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메뉴를 띄운 후 Export를 선택한다.
2. Export Android Application을 선택하고 Next를 클릭한다.
4. Keystore를 생성한다.
Keystore는 앱의 기본적인 정보와 개발자 정보 등을 담고 있는 파일인 것 같은데, keystore가 없다면 Create new keystore를 선택하고, Location에 새로운 파일 이름을 하나 적어준다. 여기서는 test.keystore라는 파일을 만들었다.
여기서 주의할 점이 있는데, 파일을 만든다는 게 빈 파일을 만든 후 해당 파일의 경로를 지정해주라는 의미가 아니다. 진짜 아무것도 없는 곳에 파일 이름만 덜렁 적어주면 알아서 이클립스가 파일을 만들어준다.
파일 이름 형식은 *.*으로 제약이 없기 때문에 그냥 원하는대로 아무렇게나 적어주면 된다.
4-1. Keystore에 정보를 입력한다.
Alias에는 별명을 적어주고, 비밀번호를 적고 validity를 적어준다.
여기서 Validity는 일종의 유효기간 같은 것인데, 최소 25년 이상을 적어주어야 warning이 안 뜬다. 마음 편하게 25를 적어주도록 하자.
한 100년 이상 가는 앱을 만들었다면 더 크게 적어도 될테고...
그리고 First and Last Name에 대충 개발자 이름을 적고 나면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.
아래 스크린샷에서 내용이 기입되어 있는 5개의 field가 필수 field이다.
이 방식으로 추출한 apk 파일은 앱 스토어에 업로드가 가능하다!